dev37 WAS 속도 느림 현상 WAS에 속도 느림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원인 파악을 하는데 어떤 식으로 진행을 하였는지 간단하게 적어보겠다. 제일 먼저 CPU 점유율을 확인하였다. top 실제로 CPU가 굉장히 많이 점유하고 있었다.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은 파악하였지만 어떤 원인인지 파악하지 못해 jstat / jmap / jstack으로 GC 및 힙, 스레드 상태를 확인하고 덤프파일로 생성하였다. GC는 Gabarge Collection으로 메모리 관리 기법 중 하나다. 프로그램이 동적으로 할당했던 메모리 영역 중에서 필요없게 된 영역을 해제하는 기능이다. GC의 경우 -verbose옵션으로 log 파일을 생성해줄 수 있다. B.2.3 -verbose:gc OptionThe -verbose:gc option enables .. 2017. 2. 1. maven 로컬 jar를 dependecy에 추가 Missing artifact # 메이븐 repository에 등록되지 않은 jar파일을 dependency에 추가해주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my-repo-site http://my.site/... 2017. 1. 5. 구조체 메서드 func (r *rect) area() int { return r.width * r.height } func (r rect) perim() int { return 2*r.width + 2*r.height } type rect struct {width, height int} rect 구조체에 메서드를 위와 같이 개발할 수 있다. 리시버 변수를 일반 구조체와 포인터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리시버 변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생략하여 사용할 수 있다.func (_ rect) print() { fmt.Println("rect print") } https://gobyexample.com/methods 2016. 12. 19. 로그 관리를 위한 logrotate.d logrotate is designed to ease administration of systems that generate large numbers of log files. It allows automatic rotation, compression, removal, and mailing of log files. Each log file may be handled daily, weekly, monthly, or when it grows too large. 로그파일이 너무 많아져서 30% 정도의 디스크 용량을 사용하고 있었다. 일정한 주기로 불필요한 많은 양의 로그 파일을 관리에 logrotate command가 있어 활용하였다.-v Turn on verbose mode. -d Turns on debug .. 2016. 12. 16.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